스크린 캡쳐 단축키

|

스크린 캡쳐

Mac에서 스크린 캡쳐 단축키는 키보드 위에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. 단축키를 공부해야 스크린 캡쳐를 할 수 있습니다.

스크린 캡쳐 단축키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전체 화면 캡쳐 : Command + Shift + 3
  • 부분 화면 캡쳐 : Command + Shift + 4 (화면에 십자가 영역이 나오면 드래그해서 영역 지정하면 됨)
  • 창(Window) 캡쳐 : Command + Shift + 4 이후 십자가가 나오면 캡쳐를 원하는 창 위에서 Space 누르면 됨

Windows 10 - 가상 데스크탑

|

Windows 10 가상 데스크탑 사용 방법

가상 데스크탑은 마치 모니터를 여러 개 쓰는 것처럼 바탕 화면을 여러 개 쓸 수 있는 기능으로 Windows 10에서 새로 추가된 기능입니다.

가상 데스크탑은 윈도우 작업 줄에 있는

image

버튼을 눌러 실행할 수 있습니다. 이 버튼을 누르게 되면

image

와 같은 화면이 나오며, 오른쪽 아래에 있는 ‘새 데스크톱’을 누르게 되면 가상 데스크탑이 하나 추가가 됩니다.


가상 데스크탑 단축키

가상 데스크탑 전환은 키보드 단축키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.

가상 데스크탑 키보드 단축키

  • 가상 데스크탑 태스크 바 : Window + Tab
  • 가상 데스크탑 생성 : Ctrl + Window + D
  • 가상 데스크탑 삭제 : Ctrl + Window + F4
  • 가상 데스크탑 전환 : Ctrl + Window + ( 또는 )


Windows 7 이하에서의 가상 데스크탑

Windows 10에서는 가상 데스크탑 기능이 기본 탑재되어 손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, Windows 7 이하에서는 별도의 어플을 설치해야 합니다. MS에서 직접 배포하고 있는 Desktop이라는 어플이며, 여기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.

설치해서 실행하게 되면

image

와 같은 화면이 나오며 가상 데스크탑 전환을 위한 단축키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 (ex. Alt + 숫자 키로 전환)

Windows 10에서의 가상 데스크탑처럼 부드러운 전환 효과라던지 자연스러움은 없지만, 무난히 쓸만한 것 같습니다.

Windows 10 - 불필요한 프로그램 삭제하기

|

불필요한 프로그램 삭제

Windows 10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습니다. 삼성이나 LG 등 대기업 노트북이라서 제조사 프로그램들이 많아서 그런 줄 알았는데, Microsoft에서 직접 만든 Surface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.

설정에서 프로그램 삭제

사용하지 않는 어플들을 삭제하기 위해서는

모든 설정 → 시스템 → 앱 및 기능

으로 들어가면 다음 화면이 나오며, 여기에서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
image

하지만, 이 방식으로 삭제되지 않는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습입니다. 대표적인 것으로 ‘원노트(OneNote)’ 등이 있습니다. 제 경우는 MS Office를 별도 버전으로 구매해서 쓰고 있기 때문에 기본 탑재된 원노트는 삭제하고 있습니다.


터미널을 이용한 프로그램 삭제

제어판에서 삭제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지우기 위해서는 관리자 권한으로 Command(또는 PowerShell)를 실행하여 삭제 할 수 있습니다. 관리자 권한으로 Command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PowerShell 아이콘 위에서 마우스 오른 버튼을 눌러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.

image

프로그램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각 프로그램의 패키지 이름(Package Name)을 알아야 하는데, 패키지 이름은 다음 명령어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.

Get-AppxPackage -AllUsers

또는

Get-AppxPackage -AllUsers *OneNote*


패키지 이름을 확인한 후, 다음 명령어를 통해 어플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
Get-AppxPackage -AllUsers Microsoft.Office.OneNote | Remove-AppxPackage

ProgressDialog 예제

|

ProgressBar는 로딩 등과 같이 어떤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UX 컴포넌트입니다. 원형, 선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ProgressBar가 존재합니다. 그리고 이러한 ProgressBar를 Dialog 형태인 ProgressDialog로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.

좀 더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조하시면 됩니다.


예제 코드

private ProgressDialog mProgressDialog;

private void showProgressDialog(String message) {
  closeProgressDialog();
  mProgressDialog = new ProgressDialog(this);
  mProgressDialog.setTitle("");
  mProgressDialog.setMessage(message);
  mProgressDialog.setCancelable(true);
  mProgressDialog.setIndeterminate(true);
  mProgressDialog.show();
}

private void closeProgressDialog() {
  if((mProgressDialog != null) && (mProgressDialog.isShowing())) {
    mProgressDialog.dismiss();
  }
  mProgressDialog = null;
}

AlertDialog 예제

|

안드로이드에서 간단한 AlertDialog를 띄우는 예제 코드입니다.

좀 더 자세한 정보와 예제 코드는 여기를 참조하시면 됩니다.

예제 코드

package com.lnc.datacafe;


import android.app.Activity;
import android.content.DialogInterface;
import android.os.Bundle;
import android.support.v7.app.AlertDialog;

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ctivity {

  private AlertDialog mAlertDialog;

  @Override
  protected void onCreate(Bundle savedInstanceState) {
    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;

    setContentView(R.layout.activity_main);

    showAlertDialog();
  }

  private void showAlertDialog() {
    if(mAlertDialog != null) {
      mAlertDialog.dismiss();
      mAlertDialog = null;
    }

    mAlertDialog = new AlertDialog.Builder(this)
        .setTitle("여기에 Title을 입력하세요.")
        .setMessage("여기에 Message를 입력하세요")
        .setCancelable(true)
        .setPositiveButton("Ok", new DialogInterface.OnClickListener() {
          public void onClick(DialogInterface dialog, int id) {
            // TODO
          }
        })
        .setNegativeButton("Cancel", new DialogInterface.OnClickListener() {
          public void onClick(DialogInterface dialog, int id) {
            dialog.cancel();
          }
        }).create();

    mAlertDialog.show();
  }

}